무엇이든 궁금한점이 있다면 물어보세요.
안녕하세요?
우선 질문에 대한 이해를 정확하게하기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념을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위의 정리 내용을 보자면 연계수(TM)는 실의 강력, 사절되는 정도등 각종특성에 맞게 시험에의해서 정해놓은 상수 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따라서 연계수(TM)를 직접측정한다기보다는 연수(TPM) 을 측정하면 계산에 의해서 연계수(TM)를 구할 수가 있습니다.
연수(TPM)는 일반적으로 검연기(檢撚器) (연도분해기라고 표기 하신게 검연기(檢撚器)를 이야기하는것이 맞는지요? 저는 연도분해기라는 말을 잘 사용을 안하다보니...... 혹시 검연기(檢撚器)하고 다르다면 이야기를 해주세요..^^) 로 측정을 할 수 있습니다.
연수(TPM)를 측정하기위한 시료는 길면 길 수록 정확한 측정을 할수 있습니다만 시료가 그리 길지 않고 짧다면 짧은대로 측정을 하시면 됩니다. 질문에서 처럼 10cm로 고정을 해서 측정을 한다면,
연수(TPM)는 meter 당꼬임수를 의미하므로 10 cm의 꼬임수를 측정해서 100 cm 당 꼬임수로 환산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즉 10 cm : 10 cm일때의 꼬임수 = 100 cm : A
A = ( 10 cm일때의 꼬임수 X 100 cm ) / 10 cm
이와같이 연수(TPM)를 구한다음 위의 공식에 대입해서 연계수(TM)을 구하면 될것 같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연수를 TPI 즉 inch 당꼬임수를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의 연계수는 위에서 언급한 연계수를 100 cm/2.54 cm 를 계산하면 나오는 39.47로 나누어 주시면 됩니다.
문의 하신 질문에 대한 답변이 잘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추가질문 주십시요..
수고하세요.
연도분해기라는 말은 제가 주위에서 들은얘기입니다만,
적으신 검연기라는 내용의 뜻을보니 정확힌 표기는 검연기가 맞는것 같습니다. 역시 어깨넘어 배운 지식이라 부족한점이 많습니다,이해하시길 바라며,
설명주신 내용이 많은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검토해보고 의문점이 생기면 다시 문의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수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