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 NOTE

섬유 기술정보를 나누는 공간입니다.

직물 분해설계 (6) - 직물조직

직조설인, 2009-07-15, 조회수 : 9,698

6. 직물의 조직

 

조직도란 직물의 경,위사가 교착된 상태를 표시한 설계도이며 이것을 표시하는 종이를 의장지라고 부르며 여기에 경,위사의 교착된 상태를 조직점으로 표기를 한 것을 조직도라 한다.

(그림4-2)

위의 그림 4-2는 직물을 확대한 것으로서 이를 조직도로 나타내면

 

(그림4-3)

그림 4-3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는데 이를 조직도라 한다.

 

가) 삼원조직

기본조직은 모든 조직의 기초를 이루고 있으므로 기초조직 이라고도 하며 변화 또는 변칙성이 없으므로 정칙조직 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기본조직은 3가지의 조직으로 구분하는데 이를 삼원조직 이라 부르며 이는

평직(平織, PLAINWEAVE),

능직(綾織,TWILLWEAVE),

주자직(朱子織,SATINWEAVE)으로 구분 하며 이를 삼원조직(三原組織,THREEFOUNDATIONWEAVE)이라 한다.

 

1) 평직(平織,PLAINWEAVE)

평직은 직물조직 중 가장 간단한 조직이며 직물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조직이며, 이는 간단하지만 가장 강한조직 이므로 여러 가지 용도에 사용 되고 있다.

 

2) 능직(綾織,TWILLWEAVE)

능직은 직물 바닥에 비스듬한 능과 골을 나타내도록 한 직물로 줄무늬를 능선 이라고 한다. 능직에서 능선에 변화 없이 한 개씩 계단식으로 이동하는 것을 정칙능직 이라고 한다.

이 경우 능선의 각도는 45도로 연속적으로 되어 있으며 그 방향에 따라 우능(右綾,RIGHTHANDEDTWILL), 과 좌능(左綾,LEFTHANDEDTWILL)으로 구분된다.

능직은 그 종류가 많으며 능직에서 일 완전조직이 제일 작은 것으로는 경사 3올과 위사 3올로 이루어진 3매능직, 경, 위사 4올로서 형성된 4매능직 및 일 완전조직의 크기가 큰 다능직 등이 있으며 3매, 4매능직 안에도 다양한 조직을 가진 여러 가지의 3매, 4매능직이 있다.

아래의 그림은 여러 가지 종류의 능직 중 한 가지를 나타낸 것 이다.

 

( 3 UP 1 DOWN RIGHT HANDED TWILL )

 

3) 주자직(朱子織,SATINWEAVE)

주자직은 일 완전조직 안에서 경, 위사가 1 회씩만 교차되도록 한 조직으로서 주자직을 작성하려면 일 완전조직의 경, 위사의 올수를 결정한 다음 비수를 결정하여 주어야하며,

 이 비수(飛數)는 평직이나 능직에서는 1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자직에서는 비수가 2 이상으로 구성되고

이를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두 개의 정수로 일 완전조직의 수가 되도록 조(祖)를 만든 후 그 두 수중에서 1과 공약수가 존재하는 조를 제외한 나머지 수들이 그 조직의 비수가 된다.

주자직을 작성할 경우에는 먼저 일 완전조직의 수를 정하고 그 일 완전조직의 비수를 구한 다음 하나의 비수를 선택하여 왼쪽 아래를 기점으로 위사방향 이나 경사방향으로 선택한 비수만큼 띄어 위 또는 옆 조직에다 조직점을 표시하여 작성한다.

주자직 역시 능직과 마찬가지로 각각 다양한 조직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중 아래 그림은 비수가 3 인 5매 주자직을 나타낸 것이다.

 

( 5 HARNESS SATIN )

 

이러한 기본조직 이외의 조직들을 변형조직이라고 보면된다.